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동물복지를 위한 산란계 사육시설 요즘 TV를 보면 반려동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프로그램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유기견이나 유기묘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다룬 신문기사들도 종종 접할 수 있다. 더불어 우리는 ‘동물복지’라는 단어를 낯설게 느끼거나 어색해 하지 않으며 사용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동물복지’라는 용어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는데 반려동물의 학대에 대한 정서적인 문제해결을 논의하면서 ‘동물복지’의 대중적 사용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전부터 농장동물(축산)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동물복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이와 관련한 전문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반려동물에 대해 제한적으로 동물복지가 논의될 뿐이었다. 하지만 2010년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농장동물의 동.. 더보기
레거시 미디어 디지털 전략의 배경과 미래 “우리는 두 개의 집을 갖고 있다. 한 집은 불타고 있고, 다른 한 집은 건설 중이다.” 가디언 칼럼니스트인 제프 자비스는 현재 레거시 미디어가 처한 현실을 이렇게 정리했다. 그렇다. 지금 레거시 미디어는 일종의 주거난민 신세다. 원래 살던 집 한쪽 구석에선 연기가 나고 있고, 새로 짓는 집은 과연 준공이 될지 (된다면 언제 될지) 몰라 입주를 주저하고 있다. 새로 짓는 집은 당연하게도 뉴미디어다. 18년차 방송기자지만 방송사 저녁 메인 뉴스 본방을 TV로 시청한 게 언제인지 가물가물하다. 종이 신문을 놓은 지는 더 오래됐다. 기자가 TV와 신문을 안 본다니... 하지만 진짜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 TV와 신문을 안 봐도 뉴스 갈증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시각 가장 핫한 뉴스는 포털 상단에 실.. 더보기
'탄수화물' 빼기 '당류'는? 제품 뒷면의 비밀 나 당(糖) 떨어졌어" "당이 필요해" 누구나 한번쯤 주변에서 들어봤을 법한 말이다. 단순히 군것질을 좋아하는 사람만 당을 찾는 걸까. 아니다. 우리 몸은 끊임없이 당을 필요로 한다. 당을 에너지원으로 써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뇌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한다. 그래서 본능적으로 당이 많은 단맛 음식을 찾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자연식품이 아닌 ‘가공식품’을 통해 우리 몸속에 들어오는 당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하루에 음식을 통해 당류 65.3g(2012년 기준) 섭취하는데, 이 가운데 무려 61.3%인 40g이 가공식품이다. 음료, 가공우유 및 발효유, 캔디·초콜릿·껌·잼이 대표적이다. 단순 당, 가공식품에 많이 들어 있어 당은 분명히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원.. 더보기
생활속으로 들어오는 AI(인공지능), 챗봇 "밤 늦은 시간에 급히 보험 관련 내용을 문의하거나 주말에 자신이 가입한 통신상품을 확인해야하는 일이 누구나 한번쯤 있었을 것이다." 아직까지 많은 기업들의 ARS(자동응답시스템)나 고객지원센터는 평일 야간대나 주말에는 소비자에 대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일을 처리하기 위해 직원을 고용하기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별도의 직원을 고용하지 않고도 하루 24시간, 1년 365일 시도때도 없는 고객들의 각종 문의와 요청에 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24시간 대응을 가능케 한 것이 ‘챗봇’(Chatbot)이다. (*출처: flickr by Matthew Hurst) 대화형 로봇, 챗봇 챗봇은 쉽게 말해 채팅과 로봇의 합성어라고 보면 된다. 인공지능.. 더보기
브랜드 저널리즘은 왜 주목받고 있나? "요즘 기업들 사이에 '뉴스룸'이 화두다." 뉴스룸이라면 방송국의 보도국이나 신문사의 편집국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하지만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기업들도 뉴스룸 개념을 도입. 콘텐츠 생산기지의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콘텐츠 제작자를 별도로 둬 카드뉴스나 짤방 등을 만드는 등 접근 방식도 기존의 언론사와 비슷하다. 소위 말해 이제는 굳이 언론사를 거치지 않아도 다양한 채널로 기업의 메시지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계와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브랜드 저널리즘'이라고 얘기한다. 브랜드 스토리텔링(Brand Storytelling])과 저널리즘(journalism)이라는 두 개념이 합쳐진 말이다. 홍보업계의 말을 종합해보면, 브랜드 저널리즘은 기업이 운영하는 SNS나 블로그, 웹.. 더보기
맛의 정글, 사회에서 배우는 맛 아이의 건강한 입맛을 위해 아이의 먹거리에 신경 쓰는 부모에게 가장 김빠지는 소리,“그렇게 해줘봤자 나중에 밖에 음식 먹기 시작하면 다 소용없어” 가정이 맛의 온실이었다면 사회는 맛의 정글과도 같다.밖에서 음식을 선택할 때 달고 짜고 매운 맛의 총집합체 음식들의 유혹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 이런 맛은 중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좋은 재료로 만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먹어왔더라도 본능에 충실한 이런 맛에는 쉽게 현혹되기 마련이다. 이른바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초등학생부터는 부모가 제공하는 음식에서 벗어나 일명 ‘밖에 음식’을 접하게 되고 이 자극적인 맛의 경험들은 입맛을 바꿔놓기에 충분하다. 더 성장해 가면 갈수록 밖에 음식을 더 자주 접하게 된다. 성인이 되어 매식과 외식이 하루 식사 전부가 되는 .. 더보기
김치, 이제 변화가 필요한 때 김치를 싫어하는 한국의 어린이들 우리 내외는 맞벌이를 하는 관계로 아이들을 어렸을 때부터 외갓집 부모님들이 돌보아 주신다. 그래서인지 초등학교 딸아이는 편식을 하지 않고 어느 음식이든지 잘 먹는다. 심지어 내가 먹기에도 어려운 내장탕, 선짓국 등도 서슴없이 먹는데, 이 모습을 지켜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입맛이라는 것이 자라온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된다.하지만, 유독 먹지 않는 음식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김치’ 이다. 직업이 김치를 개발하는 입장에선 참으로 안타깝고 속상한 일이겠지만 그렇다고 싫어하는 것을 무턱대고 강요할 수도 없다. ▲ 인사동 뮤지엄김치간(間)에서 '김치피자'를 만들고 있는 어린이들 김치는 밥에 가장 잘 어울리는 찬(餐)으로 최근의 쌀 소비감소와 서구화된.. 더보기
달콤 살벌한 그 이름은 ‘당’ "여러분은 ‘달콤하다’하면 어떤 것이 생각나시는지요?사랑에 빠지는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는 행복감이 연상되시지는 않나요?" 실제로 ‘단맛’이 나는 음식을 먹으면 뇌에서는 세로토닌이나 도파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행복감, 만족감, 의욕, 또는 흥분이 되기도 합니다. ‘감언이설(甘言利說)’(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붙여 꾀는 말)이란 말도 있는 걸 보면, 달콤함의 유혹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 온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하필 ‘단맛’에 끌릴까요? 바로 생존 본능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는데요, 영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아이들은 하나같이 쓰거나 신맛은 찡그리며 거부감을 나타내지만 단맛 나는 음식을 입에 대어주면 미소를 띠며 만족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해요. 마.. 더보기
가정에서 배우는 맛 "맛을 배우는 가장 근본적인 교육의 장은 가정이다. 가정에서 경험하는 음식은 아이에게는 식생활 교육의 교과서가 된다. 특별할 것 없이 매일 가족이 둘러앉은 밥상에서 자연스레 식생활 교육의 기능은 발현된다." 집에서 요리한 음식을 가족들과 먹으며 어떤 음식이 제철음식이고 건강한 음식인지를 알아가고, 그 맛을 기억하고 맛의 기억들이 쌓여 식습관을 결정하는 기능 말이다. 그러나 요즘 부모의 바쁜 직장과 자녀 입시 위주의 생활로 인해 가족이 함께 모여 밥을 먹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가족 밥상이 점차 사라지면서 가정에서의 식생활 교육의 기능 또한 약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족 밥상의 회복 가정에서의 식생활 교육의 기능을 되찾기 위해서는 가족 밥상의 회복이 가장 우선이다. 매일매일 모든 가족이 모여 .. 더보기
식품 관련 보도, 기자도 두렵다 "11년 전인 2005년 10월경으로 기억된다. 당시 2년차로 초년병 기자였던 시절,정신없이 경찰서와 사건사고 현장을 쫓아다니곤 했었는데 토요일 휴일근무로 출근한 어느 날이었다." 국산 송어, 향어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는 식약처(당시 식약청) 발표 직후였는데, 수산시장이나 횟집 등에 손님 없이 썰렁한 모습을 담아 뉴스를 만들라는 지시를 받았다.어떻게 하든 내 이름으로 된 리포트를 많이 만들고, 또 TV에도 많이 나오고 싶었을 만큼 의욕에 넘쳤던 시절이라 노량진 수산시장부터 시작해서 시내 곳곳의 횟집, 생선가게를 누비고 다녔다. 하지만 막상 현장 반응은 의외로 차분했다. 발암물질이 검출됐다는 건 일부 민물고기에 국한된 얘기여서 주말을 맞아 횟집이나 수산시장이 그렇게 썰렁하지 않았고 손님도 꽤 있었다. 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