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의 정글, 사회에서 배우는 맛 아이의 건강한 입맛을 위해 아이의 먹거리에 신경 쓰는 부모에게 가장 김빠지는 소리,“그렇게 해줘봤자 나중에 밖에 음식 먹기 시작하면 다 소용없어” 가정이 맛의 온실이었다면 사회는 맛의 정글과도 같다.밖에서 음식을 선택할 때 달고 짜고 매운 맛의 총집합체 음식들의 유혹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 이런 맛은 중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좋은 재료로 만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먹어왔더라도 본능에 충실한 이런 맛에는 쉽게 현혹되기 마련이다. 이른바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초등학생부터는 부모가 제공하는 음식에서 벗어나 일명 ‘밖에 음식’을 접하게 되고 이 자극적인 맛의 경험들은 입맛을 바꿔놓기에 충분하다. 더 성장해 가면 갈수록 밖에 음식을 더 자주 접하게 된다. 성인이 되어 매식과 외식이 하루 식사 전부가 되는 .. 더보기 김치, 이제 변화가 필요한 때 김치를 싫어하는 한국의 어린이들 우리 내외는 맞벌이를 하는 관계로 아이들을 어렸을 때부터 외갓집 부모님들이 돌보아 주신다. 그래서인지 초등학교 딸아이는 편식을 하지 않고 어느 음식이든지 잘 먹는다. 심지어 내가 먹기에도 어려운 내장탕, 선짓국 등도 서슴없이 먹는데, 이 모습을 지켜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입맛이라는 것이 자라온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된다.하지만, 유독 먹지 않는 음식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김치’ 이다. 직업이 김치를 개발하는 입장에선 참으로 안타깝고 속상한 일이겠지만 그렇다고 싫어하는 것을 무턱대고 강요할 수도 없다. ▲ 인사동 뮤지엄김치간(間)에서 '김치피자'를 만들고 있는 어린이들 김치는 밥에 가장 잘 어울리는 찬(餐)으로 최근의 쌀 소비감소와 서구화된.. 더보기 달콤 살벌한 그 이름은 ‘당’ "여러분은 ‘달콤하다’하면 어떤 것이 생각나시는지요?사랑에 빠지는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는 행복감이 연상되시지는 않나요?" 실제로 ‘단맛’이 나는 음식을 먹으면 뇌에서는 세로토닌이나 도파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행복감, 만족감, 의욕, 또는 흥분이 되기도 합니다. ‘감언이설(甘言利說)’(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붙여 꾀는 말)이란 말도 있는 걸 보면, 달콤함의 유혹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 온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하필 ‘단맛’에 끌릴까요? 바로 생존 본능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는데요, 영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아이들은 하나같이 쓰거나 신맛은 찡그리며 거부감을 나타내지만 단맛 나는 음식을 입에 대어주면 미소를 띠며 만족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해요. 마.. 더보기 이전 1 ··· 635 636 637 638 639 640 641 ··· 742 다음